홈 Home > 연구소 Edition
한 | Eng

활자도서관


Type Reading Room

도서관


Library

연구소


Edition

주조소


Foundey

연구물
Research
민본
한글 활자의 옵티컬 사이징 구현에 관하여: 활짝명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Min Bon
Optical Sizing in Hangul Typefaces: The Case of Hwaljjak Myeongjo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글 활자 디자인에서 ‘옵티컬 사이징(optical sizing)’ 개념의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실제 활자체 설계에 적용한 사례로서 활짝명조의 개발 과정을 분석한다. 활짝명조는 제목용, 본문용, 각주용의 세 가지 스타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스타일은 단순한 크기 확대·축소가 아닌, 기능성과 조형성을 고려한 크기별 최적화 설계를 기반으로 한다. 각 스타일은 박경서, 최정호, 최정순 등이 설계한 한글 명조체의 역사적 양식을 바탕으로 재해석되었으며, 윤곽선 정보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가변 구조를 통해 중간값 생성 및 보간(interpolation)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한글 활자에서도 옵티컬 사이징 개념이 이론적·기술적으로 구현이 가능함을 실증하고, 나아가 시대를 관통해 온 한글 본문용 활자의 원형(archetype)을 탐색하려는 시도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원문보기

This study explores the necessity and feasibility of applying the concept of optical sizing to Hangul typeface design, analyz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Hwaljjak Myeongjo as a practical case. The typeface comprises three styles—Display, Text, and Caption—each designed not through simple scaling but through size-specific structural optimization based on function and form. Each style draws from and reinterprets historical Myeongjo typefaces by Park Gyeong-seo, Choi Jeong-ho, and Choi Jeong-soon, and is structured within a variable font system that supports interpolation between styles. Through this process, the research not only demonstrates the theoretical and technical viability of optical sizing in Hangul typography, but also proposes Hwaljjak Myeongjo as a typographic experiment in reconstructing the archetype of the Korean text typeface across generations.

More Info
박민규
축소로 인한 비례 왜곡과 옵티컬 사이징

Park, Min Gyu
The Proportional Change of Downsized Hangul Characters and Optical Sizing Methods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활자의 크기가 작아질 때 한글 낱글자의 높이와 너비 비례가 왜곡되는 원인을 밝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해결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눈이 초점을 맞춰 조형을 또렷하게 인식하는 원리를 탐구하고, 초점이 맞지 않을 때 발생하는 시각적 왜곡 현상인 ‘시각 삭제’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시각 삭제의 강도는 조형의 중심부로 갈수록 약해지며, 진행 방향이 겹칠수록 강해진다는 특성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한글 낱글자의 높이와 너비 비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비례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세 가지 옵티컬 사이징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한글 활자에 적용했을 때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는지 검증했다. 그 결과, 시각 삭제의 특성을 활용해 글자의 면적을 늘림으로써 시각 삭제의 영향을 받지 않는 면적을 확보하는 옵티컬 사이징 방법이 유효함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활자 크기 축소 시 발생하는 시각 삭제가 한글 활자의 높이와 너비 비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규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옵티컬 사이징 방법을 적용하여 비례 왜곡을 방지한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cause of distortion in the height-to-width ratio of individual Hangul characters when the font size is reduced and proposes solutions to prevent this issue. To do so, the study investigates the principle by which the human eye focuses to clearly perceive shapes and analyzes the visual distortion phenomenon known as “visual off-cuts,” which occurs when focus is misaligned.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 intensity of visual off-cuts decreases toward the center of the form, while it becomes stronger as the direction of progression overlap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visual off-cuts on the height-to-width ratio of Hangul characters. Additionally, three optical sizing methods are proposed to maintain a consistent ratio, and their effectiveness is tested when applied to Hangul typefac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character, an optical sizing method can effectively counter the effects of visual off-cuts, securing areas less affected by this distortion. This study reveals that visual off-cuts caused by reducing font size influences the height-to-width ratio of Hangul typefaces and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applying optical sizing methods to prevent ratio distortion.

민본
표지글자와 활자의 기능 비교 및 상호작용 고찰

Min, Bon
A Study on Functional Comparison and Interaction between Written Sign and Type

이 논문은 시각 커뮤니케이션 발달사에서 기능의 지향성과 제작 방식이 명확하게 구분되어온 활자(type)와 표지(sign) 글자 사이의 경계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점차 흐려지는 경향을 지적한다. 본문에서는 본격적인 디지털 기술의 발달 이전에 이미 활자와 표지 간 경계를 허무는 활자체 개발의 세 가지 사례를 고찰하였다. 영국의 존스턴(Johnston) 체와 길 산스(Gill Sans) 활자체를 비교 분석하여 지역성과 보편성의 상호작용을 살펴보고, 이어 스위스의 프루티거(Frutiger) 활자체를 중심으로 국제적 보편성을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바스크 글자체(Letra Vasca)를 통해 앞선 두 사례와의 역사와 문화, 정치적 이미지로 형성되는 개체로서의 역할을 대비하였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활자와 표지의 다양한 지향성 사이의 균형을 찾는 과정이 디지털 시대 활자 개발에 중요한 지침을 제공함을 강조한다.

원문보기

Abstract
This paper points out the trend of blurring boundaries between the letterforms in types and signs, which have traditionally distinguished functional and aesthetic orientations in the development history of visual communication, due to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main body, it illuminates three cases of typeface development that transcended the boundaries between types and signs even before the advent of digital technology. It examines the interaction between regionalism and universalit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Johnston typeface and Gill Sans in the UK, followed by an exploration of international universality focusing on Frutiger in Switzerland. Finally, it contrasts the role of ‘Letra Vasca’ as a medium symbolizing the unique history, culture, and political image of the Basque region with the previous cases. In the conclusion, it emphasizes that the process of finding a balance between the diverse orientations of types and signs will provide important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typefaces in the digital age.

More Info
구모아
한글 명조체 양식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Ku, Moa
Study on the Evolution of the ‘Hangul Myeongjo’ style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글 명조체의 역사적 변천과 그 과정에서 발생한 주요 요인을 분석하여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발전 가능성을 탐구한다. 연구는 한글 명조체 형성 배경 시기(1880-1919), 한글 명조체 형성 시기(1920-1969), 한글 명조체 정립 시기(1969 - 1988), 한글 명조체 디지털 적응기(1989 - 2005), 부리 계열 확산기(2006~현재)로 구분하여 시기별로 한글 명조체 양식의 변화와 시대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 양상을 통해 한글 명조체 양식에 변화를 이끈 주요 요인을 분석하였다. 손글씨에서 인쇄 활자로의 전환, 세로짜기에서 가로짜기로의 변화, 한자 혼용에서 한글 전용으로의 변화, 활자 제작 방식의 급격한 변화와 그에 따른 글자 조형 인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글 명조체의 양식적 특징과 발전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한글 명조체는 초기 붓글씨의 필력을 기반으로 발전하였으며, 다양한 인쇄 기술과 활자 제작 방식의 도입, 한글 사용 방침에 따라 그 형태와 구조가 변화해 왔다. 특히, 1970년대에서 80년대 원도를 사용해 글자본을 만드는 사진활자 제작 방식이 도입되면서 한글 명조체의 조형적 특징이 더욱 정교해졌다. 1990년대와 2000년대에는 디지털 방식이 도입되며 한글 명조체 양식이 부리 계열로 확산하여 한글 명조체 양식의 다양성이 실험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 과정의 요인을 심층 분석한 결과 한글 명조체의 양식이 손글씨를 함축하는 기본 조형을 바탕으로 가로, 세로의 쓰기 방향과 한자를 비롯한 다른 문자와의 조화를 고려하여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한글 명조체 양식에 대해 다각도로 해석할 수 있었고 한글 명조체 양식의 확장 가능성과 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다른 한글 활자 양식 발전에 영향을 주고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미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원문 보기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Hangul typography by analyzing the historical evolution of Hangul Myeongjo typefaces and the key factors that influenced this process. The research categorizes the periods of Hangul Myeongjo typeface development into five stages: the formation background period (1880-1919), the formation period (1920-1969), the establishment period (1969-1988), the digital adaptation period (1989-2005), and the expansion period of serif(Buri) typefaces (2006-present). Each period was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stylistic changes and historical context of Hangul Myeongjo typefaces. The analysis focused on key factors that influenced changes in Hangul Myeongjo styles, such as the transition from handwritten to printed characters, the shift from vertical to horizontal writing, the transition from mixed use of Hanja and Hangul to exclusive use of Hangul, and the rapid changes in typeface production methods and the corresponding shifts in character design percep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Hangul Myeongjo typefaces developed based on the calligraphic strokes of early brush writing and evolv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various printing technologies and typeface production methods. The implementation of the phototype production method in the 1970s and 1980s, which utilized larger master drawings (originals), led to more precise and detailed typographic features in Hangul Myeongjo. In the 1990s and 2000s, the adoption of digital methods allowed for the expansion of Hangul Myeongjo styles into the serif(Buri) typeface category, fostering experimentation and diversification in Hangul typography. A thorough analysis of the factors driving these changes revealed that the stylistic foundation of Hangul Myeongjo, which encompasses basic shapes derived from handwritten forms, has the potential to evolve by considering the harmony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writing directions and the integration with other scripts such as Hanja. This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Hangul Myeongjo styles suggests possibilities for expans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potentially influencing the evolution of other Hangul typefaces and contributing to the future growth of Hangul typography.

박미정
형태와 구조 분석을 통한 한글 명조체 세분법 제안

Park, Mi-Jung
Historical Study of Myeongjo Typeface

국문 초록

한글 명조체는 붓으로 쓰인 글씨를 활자화하면서 생성된 글자 스타일로 흔히 부리가 있는 활자체 양식을 뜻한다. 박경서체 이후 100여 년간 매체의 변화와 사회적 미감의 진화를 겪으며 실로 다양한 특징을 가진 명조체들이 개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명칭이나 용어가 정확하게 세분된 예시는 많지 않다. 연구자는 ‘명조체’라는 용어로 대유되는 대상 군을 세분화하기 위해 명조체 활자의 낱글자 형태와 구조를 분석하는 틀을 만들고, 그 틀을 통해 형태적으로 대표성을 가지며 변화의 흐름이 보이는 다섯 가지 명조체를 분석했다. 그 결과 형태와 구조상 공통점을 가지는 서로 다른 세 개의 그룹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렇게 세분된 명조체들은 형태와 구조상 분명한 차이점이 있고, 나아가 각각 서로 다른 인상과 성격을 가질 만큼 그 표현력에 차이가 있다. 그 차이는 기능적인 분화가 일어날 만큼 유의미한 차이라 하겠다. 새롭게 세분된 명조체의 특성을 잘 활용하면 도서의 분야와 내용, 용도에 따라 본문용 활자를 구분 지어 활용할 수 있다. 이로써 본문용 타이포그래피가 다채로와질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Myeongjo typefaces of Hangul is a type style in which the handwriting written with a brush are converted into type, and it is often known as a type style with beak. Despite the development of Myeongjo typeface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by experiencing media changes and social aesthetic evolution over the past 100 years since Park Kyung-seo typefaces,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its name or term is accurately subdivided. In order to subdivide the target group that is replaced by the term Myeongjo typefaces, the researcher created a framework to analyze the initial form and structure of Myeongjo type, and analyzed five Myeongjo typefaces that are morphologically representative and show changes. As a result, three different groups with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similarities were found. The Myeongjo typefaces, which is subdivided like this, has a clear difference in form and structure, and furthermore, the more they have different impressions and personalities, the more their expressive power is different. It can be said that the difference is meaningful enough to cause a functional division. If you make good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subdivided Myeongjo typefaces, you can distinguish and utilize text types according to the field, content, and purpose of books. This will allow for diversification of textual typography.

민본
중립적이고도 완전무결한 문자 ‘숫자’

Min, Bon
A neutral and perfect character 'number'

국문 초록

나의 30대를 돌이켜보면 직업적 관심사와 개인적 호기심의 대부분이 활자의 생김새에 대한 것들로 채워져 있었다. 활자면에 새겨지거나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 재현될 수 있는 것, 다시 말해 활자라는 매체에 어떤 ‘값’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그게 무엇이든 그 형상을 그려보고 만들어보고 활자화하는 일을 탐욕스러우리만치 반복했다. 결과적으로 이런 일을 필요로 하던 한 기업에서 여러 나라의 문자·숫자·문장부호·화폐기호·각종 심볼 등을 도안하고, 이를 주로 컴퓨터·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타이핑하거나 폰트로부터 꺼내 쓸 수 있도록 운영체제에 집어넣는 작업을 원없이 했다...

원문 보기

Abstract

When I look back on my 30s, most of my professional interests and personal curiosities were occupied with the appearance of type. Anything that could be engraved on a typeface or reproduced on a digital interface, in other words, anything that could be given a certain “value” to the medium of type, I greedily repeated the work of drawing, making, and typifying the shape. As a result, I worked tirelessly at a company that needed this kind of work, designing letters, numbers, punctuation marks, currency symbols, and various symbols from various countries, and putting them into the operating system so that they could be typed on digital devices such as computers and smartphones or extracted from fonts.

소개 | 방문 © 2024. 모든 저작권은 (주)활자도서관에 귀속됩니다.
About | Contact © 2024. All rights reserved by Type Reading Room Co. Ltd.